경기도 청년 580만원 신청하기
청년 취업 지원금 신청하기
취업, 자산 형성, 자립을 꿈꾸는 청년이라면 정부의 청년공제와 근로 기반 저축지원 사업을 꼭 활용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핵심 지원금의 종류, 혜택, 신청 조건, 꿀팁을 한 번에 안내합니다.
1. 청년내일채움공제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·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이 장기근속하며 저축 습관과 목돈을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대표 지원제도입니다.
-
대상: 만 15~34세(군 복무 시 최대 39세) 이하 청년, 중소·중견기업 정규직 6개월 이내 입사자, 연 3,500만 원 이하 연봉
-
적립 구조: 2년형(청년 월 12.5만 원/기업 400만 원/정부 900만 원 지원/만기 1,600만 원 이상)
3년형(청년 월 16만 원/기업 600만 원/정부 1,800만 원/만기 3,000만 원 이상) -
신청 방법: 기업-청년 양측이 공동 신청, 워크넷 혹은 청년공제 공식사이트
2. 청년내일저축계좌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(중위소득 50~100% 이하) 청년이 매달 저축하면 정부가 같은 금액을 추가로 적립해주는 저축장려 제도입니다.
-
대상: 만 19~34세, 가구 중위소득 50~100% 이하, 월급 10만~50만 원 또는 25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
-
적립 구조: 본인 월 10만 원+정부 월 10만 원(3년간 360만+360만=720만 원/최대 1,440만 원까지 가능, 추가 이자 지급)
-
신청: 자산형성포털(자산e룸터), 온라인 및 동주민센터 신청
-
꿀팁: 꾸준한 근로 유지 필수, 저축중지 제도로 실직 등 일시 중단 가능
3. 자립준비청년 맞춤 지원(보호종료·취약계층)
-
상담·훈련: 고용노동부, 보건복지부 연계 맞춤 취업 교육과 국민취업지원제도․진로훈련 제공
-
특징: 심층 진로 진단, 진로탐색, 훈련연계, 소득·정서적 지원
4. 지역별 자산형성·저축 지원금
서울 희망두배 청년통장
경기 청년 노동자 통장
-
월 10만 원씩 2년 저축, 만기 580만 원(현금/지역화폐)
-
신청: 경기도, 만 19~39세 근로청년
대구 청년희망적금
5. 청년도약계좌
자주 묻는 질문(FAQ)
Q. 내일채움공제와 내일저축계좌, 중복가입 가능?
A. 네. (단, 각각 자격·직장·소득 조건 다르니 명확히 분류 필요)
Q. 자영업자/프리랜서 가능?
A. 일부 지역형 통장과 내일저축계좌는 근로(소득) 기준만 충족하면 가능,
내일채움공제는 정규직 필수.
Q. 블로그·애드센스 등 부업수익 있으면?
A. 기타소득(애드센스 등)은 큰 문제 없음, 단 사업자등록 등 고정수익 발생 시
제한 가능성 있